본문 바로가기
IT 정보

인텔 Skylake에서 변경되는 부분

by Char Aznable 2015. 1. 12.

 

 


1. USB 부분: XHCI로 완전 전환 (EHCI 지원 중단)
- Windows 7은 네이티브 XHCI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USB 방식으로 Windows 7을 설치할 수 없을 것
- 단, Windows 8 이상의 OS는 네이티브 XHCI를 지원하기 때문에 문제 없이 사용 가능
- 메인보드 업계 측면에서는 별도 USB 컨트롤러 (및 PS/2 지원)을 추가할 수도 있겠지만, 몇천 원이라는 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추가되기는 어려울 듯. (PS/2 같은 경우는 대세가 지난 지 오래됐으며, OS 설치를 위해 지원하는 것은 낭비)

2. 향상된 EIST를 지원할 것
- 기존 EIST는 가변적인 CPU의 동작 속도만 지원했지만, Skylake에서는 이를 메모리 스피드까지 확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. CPU와 메모리 속도 모두가 가변적으로 동작.
- 단, 이 기술은 모바일(노트북) 플랫폼으로 제한적 도입

3. 3세대 DMI로 전환
- 마침내 사우스 브리지가 기존 PCI-E 2.0 8레인에서 PCI-E 3.0 20레인으로 변경.
- 또한 3개의 PCI-E 장치를 지원할 것

4. 기존 LPC를 대신하여 eSPI가 사용될 것
- 따라서 TPM, SIO/EC/BMC, LPC Debug, Post 80 카드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줄 것

5. 전원 규격이 인텔 기존 VR12.5에서 IMVP8로 변경
- 스카이레이크에서는 기존 하스웰에서 도입되었던 FIVR(통합형 전원부, Fully Integrated Voltage Regulators)를 포기하고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IMVP8 SVID 규격으로 변경. 메인보드 및 파워쪽에서 다시 변화가 있을 듯.

'IT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팀덱의 문제점  (0) 2022.03.21
Acer Swift3 5500u - 노트북 추천  (0) 2021.08.21
uhd 모니터  (0) 2018.02.21
캐논 카메라 80d  (0) 2016.04.27
이케아 가구에선 왜 '새 가구 냄새'가 안 나죠?  (0) 2015.01.12